
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건설산업 경쟁력 강화와 건설안전을 위한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제공
[파이낸셜뉴스] 건설업 불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건설업계와 국회, 정부가 건설산업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하고 맹성규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이 주최하는 '건설산업 경쟁력 강화와 건설안전을 위한 토론회'가 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기술혁신을 위한 제도 개선, 건설현장 안전, 인력 수급 방안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산·학·연·관 주체가 참여하고 각 분야 전문가의 시각에서 해법을 찾아 구체적인 법률 개정 사항 등 실질적인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이다.
맹성규 국토교통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건설현장에 스마트 건설 기술이 더 적극적으로 도입돼 제도적으로 뒷받침 된다면,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안전 강화로 이어져 건설업체는 물론 국민 모두에게 혜택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한승구 연합회장은 "오늘 토론회를 통해 건설산업의 경쟁력 저하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 사항을 발굴하여 입법적 보완을 통해 제도로 정착화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1부 토론회는 '건설산업 경쟁력 강화와 기술혁신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주제로 진행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나경연 경제금융·도시연구실장은 "적정공사비 확보와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며 △적정공사비 반영 책무(건설기술진흥법) △장기계속공사 간접비 반영(국가계약법) △민간공사 물가변동 합리화(건설산업기본법) △적격심사 낙찰하한율 상향(계약예규)을 제언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진경호 건설산업진흥본부장은 "건설기술 혁신을 위한 스마트건설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건설산업에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건설 기술의 도입 및 구축이 시급하다"며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을 위한 표준과 기준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건설안전 및 건설인력 양성 방안'을 주제로 진행된 2부 토론회에서는 국토안전관리원 오영석 건설안전본부장이 건설사고 사망자가 최근 5년간 17% 감소했지만 여전히 전체 산재의 44%를 차지하고 있다며 감리제도·안전점검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박광배 선임연구위원은 숙련 내국 인력 양성 및 청년·여성 일자리 창출 지원 방안으로 교육훈련 프로그램 다양화, 안전교육 강화, 직업으로서 근로자에 대한 인식 개선 등을 제시했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