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정보모델링(BIM)이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도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방안 마련을 고민하고 있다. 업계에서 아직까지 이를 도입하기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이 없는 것이 원인인데 관련 법령 개정, 지원 방안 등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2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현재 일부 건설사에서 BIM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등 건축산업에서도 변화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BIM은 3차원 설계와 빅데이터의 융복합 기술로 설계·시공·관리 상의 오류, 낭비요소를 사전에 검토할 수 있어 생산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어 미래 혁신기술로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기술을 통해 건축산업의 생산성 고도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은 건설산업의 파급 기술로 이를 선정하기도 했다.
또한 단순 노동에 투입되는 인력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토부는 글로벌 시대에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건설업의 경우 대부분의 업체에서 노동집약적 생산방식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BIM 도입에도 미온적이다. 이에 국토부는 BIM 활성화 로드맵을 수립해 단계적으로 활성화가 가능한 제도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나아가 BIM 기술확보를 통한 신산업 창출·관련 산업 활성화, BIM 지원기구 설립·운영과 전문인력 양성 등 장기적인 방안 마련도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현행법상 인정하고 있는 2D 설계도면에 BIM 설계기준도 포함해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법령 개정과 함께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키로 했다. 다소 파격적인 인센티브 제공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국토부는 이 같은 정책 추진을 통해 민간에서 BIM에 쉽게 접근해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스마트 건축으로의 전환을 통해 건축업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며 “실용화 촉진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와 관련, “최근에 나온 것이어서 보편화까지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라며 “비용 문제도 있고 BIM 전문인력이 없는 것도 문제인데 새로운 것이 현장에 즉시 적용되기에 걸림돌로 작용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