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건설업계의 스마트건설기술 활용률이 10%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은 스마트건설기술 발전과 활용을 위해서는 전문건설업체들에 대한 지원이 대폭 늘어나야 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건정연은 최근 ‘RICON 건설 BRIEF’를 통해 전문건설업 특성상 신기술 개발에 적극적인 투자가 어려운 게 현재 실정이라며 전문건설업계에 맞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자세한 브리프 내용을 보면, 앞으로 10년 후(2019년 기준)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계획에 대해 종합건설업체는 45%, 전문건설업체는 15%가 있다고 응답했다. 종합과 전문건설업체 간에 30%에 달하는 차이가 눈에 띈다.
조금 더 상세한 자료로 보면 해당 격차는 더욱 두드러진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국내 건설기업의 스마트기술 활용 활성화 방안’에 따르면 스마트건설 도입 계획에 있어서 종합건설은 △BIM 49%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40.6% △드론 50% △모듈러 49.1% △가상 및 증강현실 35.9% △3D 프린팅 41.6% △지능형 건설장비 및 로봇기술 40.6%로 응답했다.
이와 달리 전문건설의 경우 △BIM 17.9%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13.7% △드론 18% △모듈러 18% △가상 및 증강현실 13.7% △3D 프린팅 14.9% △지능형 건설장비 및 로봇기술 14.9%로 대부분 10%대 응답률을 기록했다.
스마트건설 기술을 분야별로 봐도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의 분위기는 극명히 나뉜다.
대한전문건설협회의 ‘연도별 전문건설업체의 특허 및 개발 신기술 현황’<표>에 따르면 2020년(업체수 4만7497개) 특허를 가지고 있는 전문건설업체 비율(업체수 대비)은 6%이며 실용신안 0.69%, 건설신기술 0.26%, 환경신기술 0.15% 수준이다.
2021년(5만6724개)에는 특허, 실용신안, 건설신기술, 환경신기술이 각각 5.52%, 0.57%, 0.2%, 0.14%를 기록했고, 2022년(5만2433개)에는 이 비율율이 6.37%, 0.62%, 0.24%, 0.16%였으며 2023년(5만4517개)에는 3.14%, 0.22%, 0.27%, 0.05%로 집계됐다.
이를 보면 전문건설업체는 등록업체 수 대비 특허 및 기술개발 비율이 매우 낮은 수준이어서 극소수의 기업이 기술개발에 투자를 하고 있는 등 스마트건설기술 활용도도 낮을 것으로 파악된다.
건정연은 “인력 중심의 간단한 장비와 공구를 주로 사용하고 영세한 업체가 많은 전문건설업 특성상 신기술 개발에 적극적인 투자가 어렵기 때문”이라며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드론, BIM, AI 등 초기 기술도입 비용이 큰 스마트건설기술보다는 부분 자동화가 가능한 기술에 대한 연구 및 활용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인력 대체에 대한 우려로 기술도입을 기피하는 분위기가 있어 작업의 완전 대체보다는 부정적 인식을 완화하고 점진적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브릿징(Bridging) 기술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이경태 건정연 부연구위원은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며 “초기 도입 비용 부담 해소가 중요한 선결과제인 만큼 이에 대한 지원은 필수적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출처 : 대한전문건설신문(https://www.koscaj.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