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무인기 영상데이터와 AI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외관 손상탐지 기술 테스트에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외관 손상탐지 기술은 드론과 3D 스캐너 등을 이용해 구조물을 신속하게 촬영하고 사전 학습된 AI 모델을 통해 △균열 △박리·박락 △철근 노출·부식 △백태 등의 결함 정보를 자동 인식하고 추출한다.
기술 테스트는 준공한 지 24년 된 5층 규모 아파트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목표로 한 7종의 구조적 결함을 탐지했다.
무인기와 AI를 활용한 점검 기술은 기존 육안조사 기반 점검 기술에 비해 현장조사와 후처리 작업 시간·비용·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 점검이 점검자의 주관적 판단과 기억에 의존한 것이 아니라 영상을 통한 일관된 판정 기준을 가져 결과의 존속성과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고 건설연은 설명했다.
김병석 원장은 "기존의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인력 기반의 노후 건축물 안전 점검을 원격 자동화함으로써 인력·시간·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거주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출처 : 세이프타임즈(https://www.safe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