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부문에 ‘PAI 랩’만들어
두산이 이른바 ‘인공지능(AI) 대전환’ 시대를 맞아 ‘피지컬 AI’ 분야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에 나선다. 피지컬 AI는 인간 수준의 의사결정 능력을 지닌 AI가 로봇이나 자율주행차, 기계와 같은 실물 하드웨어에 탑재돼 다양한 작업 환경 속에서 스스로 상황을 인지하고 판단, 행동까지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산은 그룹의 피지컬 AI 혁신을 담당하는 조직인 ‘PAI 랩(Lab)’을 지주부문에 신설한다고 13일 밝혔다. PAI 랩은 로봇, 건설기계, 발전기기 등 두산이 선도하고 있는 사업과 관련한 다양한 하드웨어의 지능화를 주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피지컬 AI 혁신을 위한 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고 로드맵 실현을 위한 선행 기술 개발에 나서는 한편, 관련 기업들과 폭넓은 협업 및 투자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두산의 로봇 제조 계열사인 두산로보틱스는 자사 제품에 피지컬 AI를 접목해 다양한 작업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로봇 제조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기계 제조 회사인 두산밥캣은 기계 스스로 작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자율 작업 모델’로의 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두산은 최근에는 미 스탠퍼드 대학의 ‘인간 중심(Human-Centered) AI 연구소(HAI)’와 산학 협력 파트너십도 맺었다. 두산과 HAI는 앞으로 피지컬 AI와 관련한 다양한 협력 연구 및 인적교류를 통해 기술 협력과 지식 전수를 진행한다.
최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