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도로 상서하이패스IC 건설현장서

/ 사진 = 한국도로공사 제공.
실제 현장에 적용한 스마트 건설기술의 모습을 공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도로공사는 최근 경부고속도로 신탄진(서울방향)휴게소 내 상서하이패스IC 건설현장에서 국가R&D사업을 통해 개발한 스마트 건설기술의 현장 실제 적용한 결과를 공개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밝혔다.
측량·토공의 무인자동화, 스마트 안전관리 등 건설현장을 변화시킬 다양한 첨단기술들이 소개됐다. 측량 자동화 기술로 다중드론과 UGV로 현장의 지형을 스캔해 이동형 관제센터에서 3차원 디지털 지도를 제작하는 것이 시연됐다.
이는 인력측량을 통해 2차원 도면을 작성했던 기존방식에 비해 단시간 고정밀 디지털 지도를 제작해 보다 높은 정확성과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기술이다.
토공 자동화 기술 시연에서는 앞서 제작된 3차원 디지털 지도를 토대로 수립된 최적의 작업경로 계획에 따라 무인 토공장비가 자동으로 시공하는 모습도 선보여졌다.
작업 중에 장비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다짐도를 측정, 품질관리까지 원스톱으로 시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공사는 알렸다.

/ 사진 = 한국도로공사 제공.
AI, 로봇을 이용한 스마트 안전관리와 디지털 트윈기반의 건설현장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도 시연됐다. 스마트 안전관리에서는 AI CCTV시스템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위험상황을 감지·경고하는 상황과 로봇독·드론이 사람 대신 임시구조물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모습이 보였다.
또한 공정, 안전, 공사관리 등 현장관리 요소를 디지털 트윈으로 실시간으로 통합관리 하는 미래형 건설관제 시스템도 선보였다고 공사는 알렸다.
관계자는 “향후 현장에 실제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해 연구개발의 성과가 연구실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산업계와 국민생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민혁 기자jmin8997@naver.com / 안전신문